Eng)
Program Curation : Hyelim Jeon
Cooperation and Documentation : Yunju Shin
Program Orgarnization and Direction : Hyeyun Lee
Program Location : Online
Program Duration : Sep-Dec.2025
Exhiition : 13-15.Jan. 2026. at Sungkyun Gallery Seoul & Festsaal HGB Leipzig
Participants
MNE Team,
From HGB : Nicklas Kleemann, Laila Kamil, Anina Göpel,
From SKKU : Kim Nayoung, Shim Jeonghyeon, Cha Wechong.
Workshop Introduction
As the second sub-activity of our project, we will host a fall-winter workshop in 2025. In this experimental workshop, students will engage in collaborative research, exploring how a school can function as part of an international network.
Working abroad has often led me—somewhat paradoxically—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context I grew up in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being Korean. While engaging with artists working both in Korea and abroad, I’ve noticed recurring contextual similarities in their work. Unlike Germany, Korea has developed a media environment that is heavily narrative-driven, where media is deeply integrated into both cognitive processes and everyday life. This results in shared linguistic structures and modes of expression that reflect a unique media-based cognitive system.
Rather than framing this solely in terms of ethnic characteristics, we aim to study these tendencies through the le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 primary goal of this workshop is to investigate how “mediatic cognitive systems” shaped by Korean and German media-cultural contexts influence individuals and manifest in artistic practices. In an era of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aggressive commercialization, this program seeks to explore how we, as artists, can critically respond to and interpret these developments.
Ultimately, this workshop aims to serve as a vital bridge between Korean and German perspectives on space and being, transcending physical boundaries. Through this exchange, we hope students can study together and reflect on the contemporary media landscape from both cultural standpoints.
1) Research Topic: Media-Based Cognitive Systems
Participants will explore which media have influenced them and how, taking into account their own cultural environments. They will also examine how these influences manifest in their artistic work. The workshop encourages reflection on issues such as the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ies and the ethical and legal concerns they bring.
> check thick link <
2)Research Topic: Experimental Exhibition Format
This exhibition will emphasize the equal importance of online and physical space. Everything that exists online is rooted in the physical world, so artworks must consider how they will be experienced in physical space.
Time differenc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and proper projection equipment (such as daylight beamers) or darkened rooms should be prepared. Lighting must also be considered during installation.
Participants are encourag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is format through a variety of media: video screenings,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drawing.
At the HGB Gallery, Hyerim Jeon, Yunju Shin, and Hyeyun Lee will lead the exhibition. At SKKU Gallery in Seoul, students from both schools will handle the installation. Our team will act as a bridge between the two cities, collaboratively investigating how this exhibition format can link them meaningfully.
Some of the proposed ideas include:
Relay drawing / Real-time remote drawing
Mission-based storytelling: Finding a “portkey”
Synchronized remote performance
Testing WebEx’s real-time translation features
Potential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For example, with Samsung recently releasing Galaxy models with AI features—and given SKKU’s strong engineering, economics, and business departments—there is potential for rich cross-departmental exchange. In my undergraduate years, I recall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fine arts and engineering students (e.g., capstone design on nuclear fusion), which serve as an encouraging precedent.
1. Research grounded in each participant’s own cultural context — Participants are expected to draw from their personal cultural backgrounds to generate diverse perspectives and compelling idea.
- Team MNE: Individuals deeply engaged with Korean media culture and studying in Germany as mediators between the two contexts.
- Individuals deeply engaged with German media culture.
- Individuals deeply engaged with Korean media culture
2. How is the concept of the mediatic cognitive system interpreted and reflected in each artist's works?
3.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is to explore this experimental exhibition format through a variety of playful and thought-provoking approaches, emphasizing the idea of connecting distant contexts in a connected, liveness, and simultaneous way.
한국어)
프로그램 기획 : 전혜림
협력 및 기록 : 신윤주
프로그램 구성 및 총괄 : 이혜윤
진행 장소 : 온라인
진행 기간 : 2025년 9월-12월
전시 : 2026 년1월 13-15일 2026. 성균갤러리 & HGB Fesrsaal 동시 진행.
참여자
전혜림 신윤주 이혜윤
HGB 학생 : 니클라스 클레만, 라일라 카밀, 아니나 괴펠
성균관대학교 학생 : 김나영 심정현 차위총
프로그램 소개 [ Theme : connected parallel ]
우리 프로젝트의 두 번째 하위 활동으로서 25년 가을-겨울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학생들이 ‘함께’ 연구를 하며, 학교가 어떻게 국제적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험적인 워크샵을 진행 할 예정이다. 해외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역설적이게도 한국인들의 특성과 제가 살아 온 문화적 맥락에 대해 좀 더 잘 이해하게 되는 순간이 있는데, 해외 및 한국에서 작업중인 작가들의 작업에서 어떠한 공통적 맥락을 읽게 되었다.
우리는 독일과는 다르게 서사중심의 미디어가 발전했으며 좀 더 미디어에 사고 및 일상 생활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그것이 비슷한 언어 구조와 표현방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를 단순한 인종적 특성이 아닌 그것 너머의 배경, 즉 역사 문화적 관점에서 보고 연구 해 보고자 한다.
Mediatic cognitive system이 독일과 한국이라는 미디어 문화적 맥락 속에서 개인에게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끼쳤으며 그것이 작업으로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이 워크샵의 주된 목적이다. 빠른 기술 발전과 공격적 상용화에 대하여 우리가 어떤 시선으로 이 상황을 인식하고 대처 해야할지 예술적 접근을 통해 탐구한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과 독일의 공간과 존재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고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하며, 물리적 한계를 벗어나 동시대 미디어에 대한 한국과 독일의 맥락을 교류하여 학생들이 함께 공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구 주제1. 미디어 인지체계
본인들이 어떤 미디어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았으머 또한 본인이 속한 문화적 환경은 어떠한지, 자신이 그것을 작업적으로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더불어 발전하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상용화와 법적 도덕적 문제점에 대한 이슈 등등 을 작업적으로 연구 및 표현한다.
연구 주제 2. 전시형식 연구
이 전시에서는 온라인과 피지컬 스페이스가 동시에 중요한데 그 이유는 온라인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피지컬 스페이스를 기반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작업 할 때도 피지컬 스페이스에서 어떻게 보여질 수 있을지를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해야 한다. 필히 시차를 고려해야 하며 프로젝션을 위해 daylight 빔프로젝터를 사용하거나 그것이 아니라면 전시장은 어느정도 어두워야 한다는 점, 그리하여 작업이 설치될 때 조명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도 인지하여야 한다. 작업 매체는 영상 스크리닝, 퍼포먼스, 설치, 드로잉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험될 수 있다. 이 실험적인 전시 형식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다각도로 탐구하기를 기대한다.
HGB 갤러리에서는 전혜림, 신윤주, 이혜윤이 전시를 맡을 예정이고 SKKU 갤러리에서는 양쪽 학생들이 설치를 할 것이다. 우리 프로젝트 팀원들은 양 학교를 잇는 연결다리 역할을 하며 양 도시가 어떻게 이 전시 형식을 통해 이어질 수 있을지 함께 작업적으로 탐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 포인트
1. 각 참여자의 고유한 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연구. 목표는 각자의 시선을 반영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아이디어들을 조명하는 데 있다.
-MNE 팀: 한국 문화권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 독일 문화권을 경험하고 있는 개인들
-독일 문화권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개인들
-한국 문화권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개인들
2. ‘미디어적 인지 체계(Mediatic Cognitive System)’라는 개념이 각 작가의 작업 안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반영되고 있는가?
3. 이 실험적인 전시 형식을 다양한, 유희적이며 사고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탐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특히 물리적 거리감을 넘어선 ‘동시적이고(simultameus) 연결된(liveness & connected)’ 전시 맥락을 만들어내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물리적 거리감을 넘어선 ‘동시적이고(simultameus) 연결된(liveness & connected)’ 전시 맥락을 만들어내는 데 중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