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ject Team “Media Narrative Explorers” has been selected for the new prize  “Respectively HGB” of Hochschule für Grafik und Buchkunst Leipzig and together with the HGB Friends e.V

With this new award, the HGB, together with the HGB Friends e.V., promotes artistic and creative projects that are dedicated to the topic of “Studying at the HGB” and focus on social 'togetherness'. All HGB students were eligible to participate. A total of €5,000 was awarded, €1,000 of whic is prize money, €4,000 are earmarked for the realisation of the project. “Beziehungsweise HGB” will be awarded annually from now on. 
Members of the jury were: Marie-Charlotte Elsner, Carla Maruscha Fellenz and Diva Lindenberg (HGB Student Council), Prof. Torsten Hattenkerl (Prorector HGB) and Steffen Woyth (Board Member HGB Friends e.V.). 
A project description and further information on the prize can be found in the press release.


1. Project Concept and Curatorial Intent
To explore how media-based narratives programmed our perception and reflect contemporary cultural and cognitive systems.

Our project stems from the idea that media-driven narratives play a crucial role in reflecting contemporaneity. However, the term 'media' here refers not to the material sense of the medium as a physical substrate, but to its broader and more comprehensive meaning, encompassing both analog and digital forms. We have become accustomed to copying and documenting the ways subjects are represented in media, making them part of media platforms. Consequently, we have reached a stage where we objectify and perceive ourselves in a similar way, recording what happens to us within the media and positioning ourselves as the protagonists of these narratives. I define this as a media-based cognitive system.
This narrative-focused, media-driven way of thinking is particularly prominent among our generation in Korea. In the 1980s,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ft power and laid submarine fiber-optic cables, subsequently developing cultural industries, including digital media, which significantly boosted Korea's soft power. As a result, narrative-driven films and dramas flourished, and we became able to rapidly and easily influence and be influenced by online trends. Our generation, born after this critical moment, is the first to live their entire lives alongside advanced media technology.

What kind of world are we living in?
After the pandemic, our physical movements became restricted for a time, while online activity surged dramatically. People absorbed information and narratives at unprecedented speed, and cultural exchange took place on a massive scale. Paradoxically, the world began to share the same trends. Even Germany, which had traditionally taken a more conservative stance toward digitalization, has been steadily and rapidly embracing new technologies.
In this process, individual experiences have influenced one another, transforming into original narratives. So, in what kind of world, and as what kind of selves, do we live? Change can be disorienting, and we must understand how it is shaping us.
This project is an experiment in interpreting and expressing diverse media-based narratives through art. It aims to generate artistic discourse around contemporary social issues, such as the blending of the virtual and the real, questions of copyright, and the value of AI-generated works. Furthermore, it seeks to artistically document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temporaneity, fostering both intergenerational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allowing audiences to directly experience the impact of media cognition systems on individuals and society.
By building online communities and networks, the project intends to ensure its sustainability and to create new discourse that encompasses artistic, social, and technological possibilities.


2. Main Research Focus : Narrative Media

1-1) Research on narrative-based media cognition, with a focus on the individual.
How is the concept of a media-based cognitive system interpreted and reflected in each artist's work? Our cognitive processes have been increasingly and subtly shaped throughout our lives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embedding deeply into our individual experiences〞whe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This project examines and documents, from each artist's personal perspective, how media-based cognitive systems have shaped their lives. The process leads to artistic practice, with the exhibition exploring how each artist analyzes their own media cognition system and translates it into visual form.

1-2)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media cognition with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Korea and Germany, and the resulting artistic diversity.
Working abroad often brings moments when I paradoxically come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and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I grew up. The works of Korean artists active both overseas and in Korea share certain common threads. Korea has developed a strong tradition of narrative-centered media, where everyday life and thought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media, resulting in a tendency toward similar linguistic structures and modes of expression. I aim to examine this not as a matter of ethnic traits, but from the underlying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shapes it.
Each culture has its own history of media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own way of dealing with progress. As noted earlier, in the 1980s, Korea embraced soft power and digitalization alongsid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post-war era.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whose economy and culture flourished during the Korean War boom, dramas and animation spread, eventually evolving into the distinctively narrative-rich form of K-drama.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content and trends were able to circulate quickly and even become obligatorily universalized. As a result, narrative emerged as one of the core features of Korean media culture.
In contrast, Germany has moved more slowly toward digitalization, maintaining a highly conservative stance toward privacy and public exposure(„Wer politisch arbeitet, braucht keinen Computer“, Taz, https://taz.de/Wer-politisch-arbeitet-braucht-keinen-Computer/!1817466/). In many seminars, there is active discussion about the ethical balance between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moral values,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aggressive commercialization of AI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opics include value judgments on AI-generated works, data copyright, deepfake-related crim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tied to data storage.
As Korean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Germany, our team recognizes that each culture's relationship to technology, development,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is distinct. Therefore, we have chosen not to expand the scope of our research globally, but to focus on the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Germany. By understanding the trajectories of development through their cultural contexts, we aim to explore how fundamental human values transform in the process.
Our research scope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Individuals deeply engaged with German media culture
-Team MNE: individuals deeply engaged with Korean media culture, currently studying in Germany, acting as intermediaries between the two contexts
-Individuals deeply engaged with Korean media culture
Positioned between these two poles, Team MNE seeks to serve as a bridge, fostering discourse by intersecting perspectives and contexts from multiple angles.

2) Context of the Exhibition Space and Research on Experimental Formats : A simultaneous exhibition taking place in two cities, connected through a 24-hour online live-streaming format.

The second key theme is the experimental exploration of appropriate installation methods and spatial contexts for the work. Through research in the form of 'exploring' spaces with specific narratives, we experiment with installation approaches that respond to the historical and regional contexts of a given site, along with the artistic possibilities that arise from them. In our project's first exhibition, we investigated site-specific installation, reinterpreting an old cinema in Leipzig, its past and present function within the city, by transforming it into an exhibition space and viewing it through the lens of explorers.
Building on this context, our upcoming follow-up exhibition will experiment with an exhibition format that connects the time and space of Seoul and Leipzig via online live streaming. Marking the 20th anniversary of Nam June Paik's passing, a pivotal starting point in Korean media history, we propose a new exhibition structure that links past and present (old & new), as well as physical and virtual spaces.

Exhibition Format
In both the Seoul and Leipzig venues, diverse and experimental works utilizing this exhibition format will be installed. Each space will stream its exhibition live to the other in real time: the live feed from Seoul will be projected onto a wall in Leipzig, and vice versa. Although physically separated, the two venues will be visually connected, creating the sense of a single shared space. In this way, each venue will serve not only as a physical site for installation, but also as a 'transmission station' that virtually links the two.  
Within this expanded mixed-reality setting, audiences can move between the two spaces in real time, interact with them, or experience all the works from both locations. A camera will travel along a track installed in the space, streaming the exhibition 24 hours a day. The physical venue will remain closed while being virtually open, revealing a non-interactive space where no visitors are present and only the works remain illuminated. This setup nullifies physical separation while exposing, in their raw form, the contingencies, interactions, and sensory collisions that occur within it. 
Audiences will also be able to rewind the live stream to view past moments, expanding the simultaneity of live broadcasting into asynchronicity within the context of new media. This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further dismantle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Research Focus
In this exhibition, both the physical and virtual dimensions function as core elements. All online content is transmitted from a physic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that space shape the nature of the content itself. Alongside the exhibition format, careful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what kinds of works, when presented within this structure, can generate new synergies. Participating artists must therefore closely examine how their works operate and are perceived within an actual spac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itie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to take into account.

Preliminary Experiment
To test and validate the feasibility of the exhibition and its content, an inter-university workshop between the two cities will be held from September to December. This process will allow us to test installation and streaming methods, spatial interaction, and potential technical challenges in advance.

by Hyelim Jeon



1. 프로젝트 컨셉 및 기획 의도 
미디어가 우리를 어떻게 프로그래밍 하고 있으며, 그것이 우리의 인지 체계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탐구한다. 
우리의 프로젝트는 디지털 위주의 매체적인 내러티브가 동시대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는 데서 출발한다. 다만 여기서 지시하는 ‘미디어’는 재료적 의미가 강한 메디움(Medium)으로서의 매체를 제외한, 아날로그를 포함한 광범위하고 총체적인 의미를 지닌다. 우리는 미디어 속에 대상이 표현되는 방식들을 카피해서 기록하고 매체에 등장시키는 일에 익숙해져 있다. 그 과정에서 자신 또한 대상화하여 사고하게 되었다. 즉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미디어 속에 기록하고, 그 서사의 주인공이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나는 이를 ‘미디어 인지체계’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서사 중심의 미디어적 사고방식은 특히 한국에서 두드러지는 우리 세대만의 독특한 인지 과정이다. 1980년 한국에서는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이 부각됨과 함께 해저 광케이블이 설치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산업을 발전시켜 소프트 파워를 증진시켰다. 서사 기반의 영화, 드라마를 비롯여 온라인 트렌드로부터 쉽고 빠르게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 시기 이후 태어난 우리는 발전된 미디어와 전 생애를 함께 한 첫 세대가 되었다. 
세계는 어떠한가. 팬데믹 이후 우리의 물리적 움직임은 한동안 경직되었지만, 온라인 활동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사람들은 정보와 서사를 빠르게 습득했고, 문화적 교류는 막대하게 이루어졌다. 역설적으로 세계는 같은 트렌드를 향유하게 되었다. 디지털화에 다소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독일도 점차적으로 기술 수용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각자의 경험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독창적인 서사로 재탄생했다.
우리는 어떤 세계에서 어떤 자아로 살아가고 있는가? 변화는 혼란스럽고, 우리는 그것이 우리를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매체적 내러티브를 예술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는 실험이다, 이를 통해 동시대 사회적 이슈(가상과 현실의 혼재, 저작권 및 A.I의 창조물에 대한 가치판단 등)에 대한 예술적 담론을 형성하고자 한다. 나아가 세대적 특성과 동시대성을 예술적으로 기록하며 세대 간 및 국제 간 교류를 촉진하여 ‘미디어 인지체계’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관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예술적, 사회적, 기술적 가능성을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담론을 형성할 것을 기대한다.


2. 중점 연구 - 내러티브 미디어 
1-1)내러티브 기반 미디어 인지체계 연구 : 개인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 기반 인지체계’라는 개념이 각 참여 작가의 작업 속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반영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우리의 인지 체계는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점차적으로 미묘하고 음습하게 영향을 받아왔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개인의 삶 속 깊숙히 스며들어 이제는 우리의 일상적 사고와 감각을 구성하는 중요한 축이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미디어 기반 인지 체계 각자의 삶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작가 개인의 시선에서 탐구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밟는다. 그 결과는 예술적 실천으로 이어지며, 전시를 통해 자신만의 미디어 인지체계를 어떻게 분석하고, 그것을 시각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2)한국과 독일의 역사, 문화적 맥락에 따른 미디어 인지체계의 형성과 그에 따른 예술적 다양성 탐구. 
해외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역설적이게도 한국인들의 특성과 내가 살아 온 문화적 맥락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는 순간이 있다. 해외 및 한국에서 활동중인 한국 작가들의 작업는 어떠한 공통적 맥락이 존재한다. 한국은 서사중심의 미디어가 발달했으며, 일상과 사고가 미디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그것이 비슷한 언어 구조와 표현방식으로서 드러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를 단순한 인종적 특성이 아닌 그것 너머의 배경, 즉 역사 문화적 관점에서 연구 해 보고자 한다. 
각 문화는 고유한 미디어 기술 발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발전을 다루는 방식 또한 서로 다르다.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1980년대 한국은 전쟁 직후 빠른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소프트파워 및 디지털화 를 적극 수용했다. 한국 전쟁 특수로 인해 경제와 문화 성장을 누린 일본의 영향 아래 드라마 및 애니메이션이 확산 되었으며, 이것은 한국식 내러티브가 강한 k-drama로 발전되었다. 인터넷의 빠른 보급으로 콘텐츠와 트렌드가 확산되기 매우 쉽고 ‘의무적으로 보편화’ 되는 현상이 생겼다. 그 결과 한국 미디어 문화의 핵심 특징 중 하나가 ‘내러티브’가 되었다. 
반면, 독일은 디지털화가 비교적 천천히 진행되고 있으며, 발전의 수용보다는 개인정보 보호와 노출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Wer politisch arbeitet, braucht keinen Computer※, Taz, https://taz.de/Wer-politisch-arbeitet-braucht-keinen-Computer/!1817466/). 많은 세미나에서, 현재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공격적인 A.I. 상용화와 더불어 그 작업물에 대한 가치 판단 문제, 데이터 저작권, 딥페이크(Deepfake)  범죄, 데이터 보관에 따른 환경 문제, 등 도덕적 가치와 기술 발전의 균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우리 팀원들은 독일에 유학중인 한국인으로, 각 문화권 별로 기술과 발전과 역사적 상황,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이에 연구 범위를 세계로 확장하지 않고 양극적 특성을 갖는 한국과 독일로 범위를 한정하여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 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발전 양상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질적 순수 가치에 대한 변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 반경은 다음 세 그룹으로 나뉜다. 
- 독일의 미디어 문화에 깊게 관여하고 있는 사람
- 팀 MNE: 한국의 미디어 문화에 깊게 관여하고 있으며 독일에서 유학중인 중간 매개체로서의 사람 
- 한국의 미디어 문화에 깊게 관여하고 있는 사람 
팀 MNE는 이 양극이라고 할 수 있는 두 지점에서 울타리가 되어 다각도의 관점과 맥락을 교차시켜 담론을 형성하고자 한다.
2) 전시 공간의 맥락 및 실험적 전시 형식에 대한 연구 (두 도시에서 동시 진행되는 24시간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 전시) 
두 번째 중점 테마는 작업의 적절한 설치 방식과 설치 공간에 대한 실험이다. 특정한 내러티브를 지닌 공간을 ‘탐험’하는 형식의 연구를 통해, 공간이 지닌 역사 지역적 맥락에 맞는 설치 방식과 그에 따른 작업의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탐구한다. 우리 프로젝트의 첫 번째 전시에서는 장소 특정적 설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라이프치히의 오래된 영화관이 도시 내에서 기능하는/했던 맥락을 전시장이라는 공간으로 치환하여 ‘explorers’의 시각으로 재해석했다.   
이 맥락을 이어, 이번 다가오는 후속 전시에서는 서울과 라이프치히 두 도시의 시공간을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연결하는 실험적 전시 형식을 연구한다, 한국 미디어 역사에 중요한 출발점인 백남준의 서거 20주기를 맞아 과거와 현재(old & new),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일 잇는 새로운 전시 구조를 제안한다. 
전시 형식 
한국 서울과 독일 라이프치히 각 전시장의 물리적 공간에는 이 전시 형식을 이용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실험 작업이 설치되고 양측 공간은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송출된다. 서울 전시장의 송출 화면은 라이프치히에, 라이프치히 전시장의 화면은 서울 전시장의 벽면에 빔프로젝터로 투사된다.두 공간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시각적으로는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된다. 이로써 양 측 전시장은 단순히 작업이 설치되는 물리적 공간 뿐만 아니라 가상으로 연결시키는 매개 정류장 (transmission station)으로서의 역할도 하게된다. 이 확장된 혼합 현실 속에서 관객들은 실시간으로 두 공간을 오가며 상호작용을 하거나, 연결된 두 공간의 모든 작업을 경험할 수 있다.
카메라는 공간에 설치된 트랙을 따라 움직이며 24시간 전시장의 모습을 송출하고, 전시장은 물리적으로 닫힌 채 가상으로서 개방이 된다. 전시장의 오픈 시간 이외에는 관객이 없고 불 꺼진 공간을 비추며 작업만 남겨진 비상호적 공간을 드러낸다. 이는 물리적 단절을 무화시키며, 그 안에서 발생하는 우발성, 상호성, 감각의 충돌을 있는 그대로 노출한다. 관객들은 스트리밍 화면을 과거로 돌려볼 수도 있는데, 이는 뉴미디어의 맥락에서 생중계의 동시성을 비동시성으로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보이지 않는 것들을 가시화(invisible visible)’하며 시공간의 차원을 허무는데 가중시킨다. 
연구 포인트 
이 전시에서는 물리적 차원과 가상 차원이 모두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온라인 콘텐츠는 모두 물리적 공간에서 송출되며, 그 공간의 특성과 조건에 따라 콘텐츠의 성격 또한 형성된다. 전시 형식과 함께 어떠한 작품이 전시될때 새로운 시너지가 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하며, 따라서 참여 작가들은 자신의 작업이 실제 공간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며, 어떻게 인식될지를 면밀히 고민해야 한다. 두 도시의 시차 역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다. 
사전 실험 
전시의 현실성과 콘텐츠를 사전에 실험하고 검증하기 위해, 양 도시의 대학간 워크샵이 9-12월 진행된다. 이를 통해 설치 및 송출 방식, 공간 상호작용, 기술적 문제 등을 미리 테스트한다.